본문 바로가기
북마크추가. | 새로운글
회원가입 | 로그인
증산법륜도&범증산 도생들의 쉼터
  • 도생 열린 광장
    • 인기 베스트글 
    • 해 원 방 
    • 진리 토론 
    • 등업 및 출석 인사 
    • 권리침해신고 
  • 증법도 참도생방
    • 도 담 방 
    • 참도생방 
    • 지방 도장 모임 
    • 운영위원방 
    • 증법도 일지 
  • 수행 정진
    • 사이버 道場 
    • 수행법 공유 
    • 수행의 세계 
    • 건강법 소개 
  • 증법도 알림
    • 증법도 공지 
    • 증법도 Q&A 
    • 증법도 행사 
    • 증법도 참도생 가입 
  • 범증산교단
    • 선배 신앙인들 
    • 범증산교단 소식 
    • 성지 및 교단탐방 
  • 자료실
    • 경전자료실 
    • 기타자료실 
    • 홈페이지관련Tip 
  • 운영자방
도생 열린 광장
  • 인기 베스트글
  • 해 원 방
  • 진리 토론
  • 등업 및 출석 인사
  • 권리침해신고
해 원 방
+ Home > 도생 열린 광장 > 해 원 방
해 원 방

석가의 가르침 <苦集滅道 고집멸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현우 (121.♡.6.157) 작성일17-07-19 22:16 조회5,986회 댓글1건
  • 목록

본문

삶을 살다보니 참 내 뜻대로 모든 일이 잘 풀릴 때도 있고,
 
돈도 술술 잘 벌때도 있고, 잘나갈 때도 있지만,
 
뭔가 마에 씌인것처럼 세상 모든 일이 베베 꼬아놓은 실타래 마냥 안풀리고
 
돈도 안벌리고, 인생은 고달프기만 하고,
 
옆집 사람보다 내가 못난것 같고, 자괴감 들고,
 
옛친구들은 사회속에서 잘되가는데 나는 거기에 훨씬 못미치고,
 
그런 생각이 들 때도 있지요?
 
 
 
세상 살면서 좋은 일, 나쁜 일 겪어보기도 하고,
 
수행은 어떻게 하나 이런 저런 고민도 해 보는 가운데
 
드는 생각가운데 하나가 '불(佛)은 선(仙)의 밑자리니라.'하신
 
수부님 말씀이 떠올라서 불(佛)에 대해서 알아보던 중
 
석가모니께서 지난날 수행에 대해서 말씀하신 내용들이 있어어
 
글로 공유해 봅니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바로 여래가 완전하게 깨달았으며, 안목을 만들고 지혜를 만들며, 고요함과 초월지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으로 인도하는 중도이다.”5.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고성제)]이다. 태어남도 괴로움이다. 늙음도 괴로움이다. 병도 괴로움이다. 죽음도 괴로움이다. [근심  탄식  육체적 고통  정신적 고통  절망도 괴로움이다.]

싫어하는 [대상]들과 만나는 것도 괴로움이다.

좋아하는 [대상]들과 헤어지는 것도 괴로움이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것도 괴로움이다.

요컨대 취착의 [대상이 되는] 다섯 가지 무더기[五取蘊(오취온)] 자체가 괴로움이다.”6.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苦集聖諦(고집성제)] 이다. 그것은 바로 갈애이니, 다시 태어남을 가져오고 즐김과 탐욕이 함께하며 여기저기서 즐기는 것이다.

즉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慾愛(욕애)],

존재에 대한 갈애[有愛(유애)],

존재하지 않음에 대한 갈애[無有愛(무유애)]가  그것이다.”7.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苦滅聖諦(고멸성제)]이다. 그것은 바로 그러한 갈애가

남김없이 빛바래어 소멸함, 버림, 놓아버림, 벗어남, 집착 없음이다.”8. “비구들이여,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의 성스러운 진리[苦滅道聖諦(고멸도성제)]이다.

그것은 바로 여덟 가지 구성요소를 가진 성스러운 도[八支聖道(팔지성도)]이니,

즉

 바른 견해[正見(정견)],

바른 사유[正思惟(정사유)], 바른 말[正語(정어)],

바른 행위[正業(정업)],

바른 생계[正命(정명)],

바른 정진[正精進(정정진)],

바른 사티[正念(정념)],

바른 사마디[正定(정정)]이다.”9. “비구들이여,

나에게는 ‘이것이 괴로움의 진리이다.’라는,

전에 들어보지 못한 법들에 대한 눈[眼(안)]이 생겼다. 지혜[智(지)]가 생겼다. 반야[慧(혜)]가 생겼다. 명지[明(명)]가 생겼다. 광명[光(광)]이 생겼다. ……                      

 

상윳따니까야 6권   p.384-392 // 394~395

(각묵스님, 초기불전연구원, 2009년)

 

 

 

위의 글은 바로 석가불이 제자들에게 열반에 드는 방법에 대해서 설한 내용입니다.
 
불가에서 익히 잘 알고 있는 사성제(四聖諦) 고집멸도(苦集滅道)입니다.
 
인생은 괴로움(苦)인데, 그 원인은 집착(集)에 있다.
 
그 괴로움을 소멸(滅)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것이 도(道)이다.
 
집(集)이 원인이 되어 -> 고(苦)가 되고
 
도(道)를 행함으로써 -> 괴로움이 소멸(滅)된다. 곧, 열반에 든다는 말씀입니다.
 
 
 
고집멸도(苦集滅道)에 대한 부가 설명도 써볼까 했지만, 너무 길어질까 해서 알아서 검색해 보시구요..
 
한번 읽어보시면 대충 '아 그런 의미구나' 하실겁니다. 너무 유명한 8정도(8正道)에 대해서도 알게 되네요.
 
 
 
불가에 대해 알아보면서 참 인상깊은것은 누가 뭐래도 바로 고타마 싯타르타(석가불)의 인생에 대한 이야기네요.
 
잘 알다시피 싯타르타는 왕자입니다. 요즘식으로 얘기하자면 금수저...
 
더 쉽게 얘기해서 이건희 회장님의 아들 정도로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어려서부터 부족할 것 하나 없고, 하고 싶은거 다 하고, 공주와 결혼까지 한 유부남이네요.
 
그런 싯타르타는 인생에 회의감을 느꼈는지, 아니면 하늘의 인도인지
 
그 유명한 보리수 나무 아래에서 수행을 통하여 득도를 하고,
 
어느날 '삶은 괴로움(苦)이다.' 라고 하면서 고집멸도(苦集滅道)설을 설파합니다.
 
왕자로 태어난 자로써, 집을 나와 속세를 떠나서,
 
고행(苦行)을 하고, 수행(修行)을 하고,
 
'삶은 괴로움(苦)이다' 라는 말을 하기가 쉽지 않았을텐데
 
싯타르타는 인생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었나 봅니다.
 
거지가 그랬으면 몰라도, 왕자라니... 왕자라며... 왕....
 
 
 
득도(得道)를 했다고 하니, 그 사람의 출신에 대해서는 넘어가 주도록 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석가불은 사람은 왜 수행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삶은 괴로움으로 가득차 있다. (苦) 생노병사(生老病死),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에 대한 괴로움,
 
원망하는 이에 대한 괴로움, 구하고자 하나 얻지 못하는 괴로움, 욕망에서 오는 괴로움.
 
이 괴로움은 바로 번뇌로부터 온다. (集) 욕망을 가지게 되고, 집착을 하게 되고, 거기에서 헤어나지를 못한다.
 
이러한 사바(娑婆)세계의 모든 번뇌를 끊어버리고, 큰 우주 극락(極樂)세계와 마주하게 되는것이 열반(涅槃)에 든 것이며 (滅)
 
열반에 들기 위해서는 여덞가지 바른 생활(道)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정리할 수 있겠네요.
 
 
 
번뇌로 부터 벗어나는 길. 다른 말로 하자면 모든 마(魔)로 부터 벗어나는 길.
 
강증산 상제님께서 말씀하신 일심(一心)
 
'복마(伏魔)를 물리치는 것이 다른 데 있지 않고 일심을 잘 갖는 데
 
있나니, 일심만 가지면 항마(降魔)가 저절로 되느니라.'
 
 
 
이 일심(一心) 가지는 것이 쉽지가 않지요.
 
자꾸 딴생각도 하게 되고, 딴짓도 하게 되고..
 
그래서 생각해 봤습니다.
 
인생이 괴롭구나.. 석가불께서 삶은 괴로운것이라고 하셨으니,
 
그 괴로운것들을 잊기 위해서 수행을 해야겠다..
 
불가(佛家)에서는 경(經)을 외우고, 여러가지 염불 수행을 하니,
 
나도 태을주(太乙呪) 주문 수행이라도 해야겠다고..
 
시험삼아 여러가지 복잡한 생각들 다 괴롭다고 생각하고 주문만 생각하고 외우니,
 
마음이 참 편하기는 합니다.
 
 
 
늦게까지 시집못간 한많은 처자가 물동이를 머리에 이고
 
'아무것도 싫다'고 주문처럼 외우고 다니니
 
부모가 그 말이 듣기 싫어 물동이를 걷어차버리니
 
물동이는 깨지지 않고 물 한방울 쏟아지지 않았더라는
 
이야기가 문득 떠오릅니다.
 
물론, 도생님들께는 저마다 좋은 자기 수행법이 있겠지요.
 
 
 
앞으로, 증산법륜도의 사이트가 많이 활성화가 되어서
 
서로 수행에 대한 좋은 방법들도 공유도 하고,
 
삶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글들도 많이 보게 되기를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0

댓글목록

강물처럼님의 댓글

강물처럼 아이피 203.♡.74.217 작성일 17-07-20 17:47

종교가 없다가 처음 만난 것이 상제님 진리라서 불교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별로 없는데 '고진멸도'에 대해서 한소식 들었습니다. 자주 좋은 글 올려주세요^^

  • 목록

해 원 방 목록

Total 73건 4 페이지
해 원 방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범증산 도생방 밴드'에 초대합니다. 인기글 aspirin 08-26 29746 0
13 백아절현(伯牙絶絃) 인기글 강물처럼 07-21 6111 0
열람중 석가의 가르침 <苦集滅道 고집멸도> 댓글1개 인기글 현우 07-19 5987 0
11 감상,You raise me up- Helene Fischer 인기글 강물처럼 07-19 5973 0
10 여의길상(如意吉祥) 댓글1개 인기글 강물처럼 07-17 6104 0
9 여수 향일암 돌계단의 동자승 댓글2개 인기글 asprin 07-14 8900 1
8 ▶욕속부달(欲速不達) 인기글 강물처럼 07-14 6046 0
7 인생에 정답이 어디있겠소 인기글 강물처럼 07-10 5925 0
6 좌우명座右銘 인기글 강물처럼 07-08 5820 0
5 ♡ 시련도 삶의 일부♡ 인기글 강물처럼 07-06 5847 0
4 범증산 도인들의 쉼터 개방을 환영합니다 댓글1개 인기글 강물처럼 07-05 5950 0
3 --- renewal site open 2017.07.03 ------------ 인기글 운영자 07-01 4758 0
2 長短相較 (장단상교) 댓글1개 인기글 asprin 06-23 5977 0
1 테스트 글쓰기 인기글 테스트 04-12 5768 0
처음 1페이지 2페이지 3페이지 열린4페이지
게시물 검색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고/제휴문의
  • TOP
  • 사이트관리자 : 증산법륜도 운영위 Email: jsbrdo@gmail.com
  • copyright(c) jsbrdo.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