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마크추가. | 새로운글
회원가입 | 로그인
증산법륜도&범증산 도생들의 쉼터
  • 도생 열린 광장
    • 인기 베스트글 
    • 해 원 방 
    • 진리 토론 
    • 등업 및 출석 인사 
    • 권리침해신고 
  • 증법도 참도생방
    • 도 담 방 
    • 참도생방 
    • 지방 도장 모임 
    • 운영위원방 
    • 증법도 일지 
  • 수행 정진
    • 사이버 道場 
    • 수행법 공유 
    • 수행의 세계 
    • 건강법 소개 
  • 증법도 알림
    • 증법도 공지 
    • 증법도 Q&A 
    • 증법도 행사 
    • 증법도 참도생 가입 
  • 범증산교단
    • 선배 신앙인들 
    • 범증산교단 소식 
    • 성지 및 교단탐방 
  • 자료실
    • 경전자료실 
    • 기타자료실 
    • 홈페이지관련Tip 
  • 운영자방
도생 열린 광장
  • 인기 베스트글
  • 해 원 방
  • 진리 토론
  • 등업 및 출석 인사
  • 권리침해신고
진리 토론
+ Home > 도생 열린 광장 > 진리 토론
진리 토론

제목과 해석이 좀 이상한 성구_상놈의세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119.♡.137.16) 작성일13-12-09 14:25 조회7,631회 댓글0건
  • 목록

본문

제목과 해석이 좀 이상한 성구
 

 

상놈의세계작성일13-06-27 22:49조회196회 댓글9건
 

 

일단 성구를 보시고....
**************************************************************************************
금강산 부처 기운을 거두심
1 상제님께서 순창 농바우에 계실 때 조선 국운 심판 공사를 마치시고 형렬에게 이르시기를
2 “허미수가 중수한 성천(成川) 강선루의 일만 이천 고물에는 녹(祿)줄이 붙어 있고
3 금강산 일만 이천 봉에는 겁살(劫煞)이 끼어 있나니 이제 그 겁살을 벗겨야 하리라.” 하시고
4 “너는 광찬과 원일을 데리고 구릿골로 돌아가 열흘 동안 아침저녁으로 청수 한 동이씩을 길어서 스물네 그릇에 나누어 놓고
5 밤에는 칠성경을 스물한 번씩 읽으며 백지를 사방 한 치씩 오려 그 종이에 한 사람이 모실 시(侍) 자 사백 자씩 써서 네 벽에 돌려 붙이고 나를 기다리라.” 하시고
6 엄히 경계하시기를 “붙일 때는 종이가 포개져서도 안 되고 요만치 틈이 있어도 안 되나니 끝이 딱 맞아야 하느니라.” 하시니라.
7 원일이 형렬로부터 이 말씀을 전해 듣고 싫은 기색을 띠거늘 형렬이 상제님께 아뢰니 상제님께서 “이도삼(李道三)을 데려가 행하라.” 하시매
8 형렬이 도삼, 광찬과 함께 구릿골로 돌아가 명하신 대로 행하여 열흘에 마치니 글자의 총수 일만 이천 자요, 종이도 틈 하나 없이 정확하게 붙었더라.

상제님께서 구릿골에 이르시어 갑칠에게 염소 한 마리를 사 오라 하시거늘
2 갑칠이 염소를 사서 지고 오매 말씀하시기를 “너 소 한 마리 메고 오느라고 욕봤다.” 하시고
3 염소를 잡아 그 피를 손가락으로 찍어 벽에 돌려 붙인 일만 이천 모실 시 자 위에 일일이 점을 치신 뒤에
4 성도들에게 물으시기를 “이 형상이 무엇과 같으냐?” 하시니 갑칠이 아뢰기를 “아라사 병정 같습니다.” 하거늘
5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아라사 병사가 내 병사니라.” 하시고 “모든 일을 잘 알아서 하라.” 하시니라.

***************************************************************************************

제목이 금강산 부처기운 거두심이라고 돼 있죠. 의문이 가는 것은 '모실 시(侍)'자와 '겁살(劫煞)'에 대한 겁니다.
예전에 '모실 시(侍)' 이 부분의 해석을 사람 인(人)자와 절 사(寺)로 파자(破字)해서 해석돼온 것을 기억합니다. 파자 합자는 흔히 비결서에 나오는 방식입니다.
그러니까 일만 이천개의 '모실 시(侍)' 자가 절간의 승려라는 해석이죠. 지금도 이렇게 해석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맞는 건지 의문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전체적인 문맥을 일만 이천 일꾼이 출현하는 것과 관련시켜 본다면 '모실 시(侍)'자는 절간의 승려라기보다는 천주이신 상제님을 모시는 그런 '모실 시(侍)'자로 보입니다.
즉 시천주(侍天主) 주문의 뜻과 상통한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글자를 파자해서 해석하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가 있습니다.
상제님께서는 때때로 비결을 인용하시는 경우는 있습니다만 직접 파자 또는 합자해서 비결을 지으시진 않으셨다고 봅니다.

성구에 나오는 '겁살(劫煞)'에 대해서는 불교용어 영겁(永劫: 불교의 타르마(영원한 시간))과 관련시켜 부처의 기운 그렇게 해석해왔던 것 같은데요. 겁살은 흔히 무속에서 쓰는 용어로 재살(災煞), 세살(歲殺)과 함께 삼살에 속하며 가장 큰 재앙을 당할 살이라 해서 대살(大煞)이라고도 한답니다. 불교 용어와는 거리가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볼때 해석을 다시 한다면 상제님께서는 일만이천 핵심 일꾼들에게 개벽 전후에 닥실 재앙을 막아주시기 위해 소(염소: 태을주의 소울음 소리?)의 피로 모실 시자 위에 점을 찍으시며 아라사병사가 내 병사니라 하신 것입니다.

여기서 '아라사'는 '내(我) 병사(士)'라는 뜻으로 말씀하신듯하고 "모든 일을 잘 알아서 하라"는 말씀에서 "알아서"라는 것도 '아라사'라는 음동을 취하셔서 말씀의 뜻을 풀이해주신 것이 아닐까도 생각해보았습니다. 성사재인의 능동적 일꾼이 되라는 뜻? (기존 해석에선 소련군이 내려와 불교 기운 거두는 것으로 해왔죠. 좀 멍~해집니다.)

즉 저 성구들은 금강산 부처기운 거두는 것과는 좀 거리가 있는 말씀인 것 같고 상술한 바대로 일만이천 일꾼들이 상제님 천하사를 함에 있어서 선천 상극세상의 재앙과 난법기운을 이겨내고 무사히 성사재인할 수 있도록 공사를 보신 것으로 해석돼야지 않을까요?

제목도 금강산 부처기운 거두심보다는 일만이천 참일꾼 출현 공사가 무난하고 어울릴 것 같습니다.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목록

진리 토론 목록

Total 447건 22 페이지
진리 토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7 진인도통연계에 얽힌 비밀_구도자 인기글 운영자 12-10 8197 0
26 구도자-화은당실기와 선정원경 그리고 도전에 나오는 태전과 대전 인기글 운영자 12-10 8727 0
25 얕이 파면 다 죽는다_구도자 인기글 운영자 12-10 7473 0
24 후천 복희팔괘와 남방 3리화_다스칼 인기글 운영자 12-09 9703 0
23 상두,북두칠성,남두육성 이야기(펌글 및 제편집)_노들 인기글 운영자 12-09 7880 0
열람중 제목과 해석이 좀 이상한 성구_상놈의세계 인기글 운영자 12-09 7632 0
21 상제님은 다시 오시는가? 언제 어떻게?_혈심자 인기글 운영자 12-09 7978 0
20 [증산진법- 조화정부론] 개벽방위는 종립(縱立)아닌 횡립(橫立):후천조화정부 위치와 시스템(1)_예지자 인기글 운영자 12-09 8739 0
19 태을주의 올바른 주송법을 찾기위한 저의 노정_지구별여행자 인기글 운영자 12-09 9075 0
18 태을/천상원군 이냐 태을천/상원군 이냐!!_구도자 인기글 운영자 12-09 8135 0
17 태을주 주송에 대해 한 말씀_상놈 인기글 운영자 12-09 7957 0
16 태을주의 올바른 주송법에 대한 소견_지구별여행자 인기글 운영자 12-09 7981 0
15 태을신의 위격에 대하여_지구별여행자 인기글 운영자 12-09 8266 0
14 태을주를 바로 잡아주신 분에게 감사드립니다 인기글 운영자 12-09 8475 0
13 의통인패(5)_빗자루 인기글 운영자 12-09 8964 0
12 의통인패(4)_빗자루 인기글 운영자 12-09 9171 0
11 의통인패(3)_빗자루 인기글 운영자 12-09 8523 0
10 의통인패(2)_빗자루 인기글 운영자 12-09 9024 0
9 의통인패(1)_빗자루 인기글 운영자 12-09 9811 0
8 신관 만종산 태을원군 중수비(萬鍾山太乙元君廟重修碑記)_다스칼 인기글 운영자 12-09 9139 0
처음 이전 21페이지 열린22페이지 23페이지 맨끝
게시물 검색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고/제휴문의
  • TOP
  • 사이트관리자 : 증산법륜도 운영위 Email: jsbrdo@gmail.com
  • copyright(c) jsbrdo.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