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마크추가. | 새로운글
회원가입 | 로그인
증산법륜도&범증산 도생들의 쉼터
  • 도생 열린 광장
    • 인기 베스트글 
    • 해 원 방 
    • 진리 토론 
    • 등업 및 출석 인사 
    • 권리침해신고 
  • 증법도 참도생방
    • 도 담 방 
    • 참도생방 
    • 지방 도장 모임 
    • 운영위원방 
    • 증법도 일지 
  • 수행 정진
    • 사이버 道場 
    • 수행법 공유 
    • 수행의 세계 
    • 건강법 소개 
  • 증법도 알림
    • 증법도 공지 
    • 증법도 Q&A 
    • 증법도 행사 
    • 증법도 참도생 가입 
  • 범증산교단
    • 선배 신앙인들 
    • 범증산교단 소식 
    • 성지 및 교단탐방 
  • 자료실
    • 경전자료실 
    • 기타자료실 
    • 홈페이지관련Tip 
  • 운영자방
수행 정진
  • 사이버 道場
  • 수행법 공유
  • 수행의 세계
  • 건강법 소개
수행법 공유
+ Home > 수행 정진 > 수행법 공유
수행법 공유

서전서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견우직녀 작성일15-04-15 02:55 조회14,766회 댓글2건
  • 목록

본문

 
서전서문(書傳序文 ) 
 

慶元 己未冬에 先生 文公이 令沈으로 作書集傳하시고 
경원기미동에 선생 문공이 영침으로 작서집전하시고
明年에 先生이 沒커시늘 
명년에 선생이 몰커시늘 
又十年에 始克成編하니 總若干萬言이라 
우십년에 시극성편하니 총약간만언이라
嗚呼라. 書豈易言哉리요. 
오호라 서기이언재리요. 
二帝三王의 治天下之大經大法이 皆載此書로되 
이제삼왕의 치천하지대경대법이 개재차서로되  
而踐見薄識으로 豈足以盡發蘊奧며 
이천견박식으로 기족이진발온오며
且生於數千載之下하여 而欲講明於數千載之前하니 
차생어수천재지하하여 이욕강명어수천재지전하니 
亦已難矣라 
역이난의라
 

경원(慶元) 기미년 겨울에 문공께서 침(沈)에게 명하여 서경의 집전을 지으라 하시고
그 이듬해에 돌아가시거늘 십 년 만에 비로소 책을 완성하니 모두 수만 자라
아! 서경을 어찌 쉽게 말할 수 있으리요. 이제삼왕의 천하를 다스리는 큰 법이
이 책에 다 실렸으되 나의 얕은 식견과 학식으로 어찌 족히 그 심오한 이치를
다 드러낼 것이며 또 수천 년 뒤에 태어나서 수천 년 전의 일을 밝히려 하니
이 또한 어려운 일이로다. 
 

然이나 二帝三王之治는 本於道하고 
연이나 이제삼왕지치는 본어도하고 
二帝三王之道는 本於心하니 
이제삼왕지도는 본어심하니  
得其心이면 則道與治를 固可得而言矣리라. 
득기심이면 즉도여치를 고가득이언의리라.
 

그러나 이제 삼왕의 다스림은 도(道)에서 비롯하고 이제 삼왕의 도는 마음에
근본을 둔 것이니 바로 그 마음(中)을 깨면 도와 다스림을 진실로 말할 수 있으리라. 
 

何者오. 精一執中은 堯舜禹相授之心法也요 
하자오. 정일집중은 요순우상수지심법야요 
建中建極은 商湯周武相傳之心法也요 
건중건극은 상탕주무상전지심법야요
曰德曰仁曰敬曰誠은 言雖殊而理則一이니 
왈덕왈인왈경왈성은 언수수이리즉일이니
無非所以明此心之妙也라. 
무비소이명차심지묘야라. 
 

무슨 까닭인가? 오직 한 마음으로써 중(中)의 도를 잃지 않음은 요(堯), 순(舜), 우(禹)가
서로 전한 심법이요 중(中)의 도를 세워 만민의 삶의 푯대를 드러냄은 상의 탕과
주의 무왕이 서로 전한 심법이니 무릇 덕(德)과 인(仁)과 경(敬)과 성(誠)은 말이
비록 서로 다를지라도 그 이치는 하나이니 다 이 마음의 묘처(中)를 밝힘이 아님이
없느니라. 
 

至於言天則 嚴其心之所自出이오 
지어언천즉 엄기심지소자출이오 
言民則 謹其心之所由施니 
언민즉 근기심지소유시니 
 

禮樂敎化는 心之發也요 典章文物은 心之著也요 
예악교화는 심지발야요  전장문물은 심지저야요
家齊國治而天下平은 心之推也니 心之德이 其盛矣乎인저 
가제국치이천하평은 심지추야니 심지덕이 기성의호인저
 

하늘을 말함에 이르러서는 마음이 유래한 바를 공경하는 것이요
백성을 말함에 이르러서는 그 마음이 행할 데를 삼가는 것이다
예악으로 교화함은 마음의 발함이요 온갖 문화와 제도는 마음의 드러남이요
집안을 다스리고 나라를 다스려 천하를 평화롭게 함은 마음을 미루어 확장함이니
마음의 덕이 성하도다. 
 

二帝三王은 存此心者也요 
이제삼왕은 존차심자야요 
夏桀商受는 亡此心者也요 
하걸상수는 망차심자야요 
太甲成王은 困而存此心者也라. 
태갑성왕은 곤이존차심자야라 
存則治하고 亡則亂하나니 
존즉치하고 망즉란하나니
治亂之分이 顧其心之存不存如何耳라. 
치란지분이 고기심지존부존여하이라.
 

   이제삼왕은 이 마음을 잘 간직한 사람들이요 하의 걸과 상의 수는 이 마음을
잃어버린 사람이요 태갑과 성왕은 겨우 이 마음을 잃지 않은 사람들이다.
마음을 간직하면 다스려지고 잃어버리면 어지러워지나니 다스려짐과 어지러워짐의
나누임이 돌아보건대 마음을 간직했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달려 있을 따름이다. 
 

後世人主 有志於二帝三王之治인대 不可不求其道요 
후세인주 유지어이제삼왕지치인대 불가불구기도요
有志於二帝三王之道인대 不可不求其心이니 
유지어이제삼왕지도인대 불가불구기심이니 
求心之要는 舍是書하고 何以哉리요. 
구심지요는 사시서하고 하이재리요.
 

   후세의 군주가 이제삼왕의 다스림에 뜻이 있을진대 그 도를 구하지 않음이
불가하고 이제삼왕의 도에 뜻이 있을진대 그 마음을 구하지 않음이 불가할지니
마음을 구하는 요체는 이 책을 버리고 어찌 얻을 수 있으리요. 
 

沈이 自受讀以來로 沈潛其義하고 
침이 자수독이래로 침잠기의하고 
參考衆說하여 融會貫通일새 
참고중설하여 융회관통일새
乃敢折衷이나 微辭奧旨는 多述舊聞이요 
내감절충이나 미사오지는 다술구문이요 
二典禹謨는 先生이 蓋嘗是正하사 手澤이 尙新하시니 嗚呼惜哉라. 
이전우모는 선생이 개상시정하사 수택이 상신하시니 오호석재라
 

    침이 서경을 읽은 이래로 그 뜻을 깊이 헤아리고 여러 학설을 참고하여
자세히 이해하고 관통하였기에 이에 감히 절충하였으나 자세한 뜻과 깊은 뜻은
대개 오래 전에 들은 것을 그대로 서술한 것이요
이전(堯典, 舜典)과 우모(禹謨)는 선생이 일찍이 바로 잡으시어 아직도 오히려
손때 묻은 흔적이 새로우니 아! 애달프도다. 
 

集傳은 本先生의 所命故로 凡引用師說을 不復識別하고 
집전은 본선생의 소명고로 범인용사설을 불부지별하고 
四代之書를 分爲六卷하니 文以時異나 治以道同이라. 
사대지서를 분위육권하니 문이시이나 치이도동이라
 

   집전은 본래 선생의 소명(所命)인 까닭에 무릇 선생님의 설명을 인용한 것을
다시 따로히 표기하지 않고 사대(四代)의 책을 여섯 권으로 나누니 글은 시대에 따라
다르나 도로써 다스림은 한가지니라 
 

聖人之心이 見於書는 猶化工之妙가 著於物이니 
성인지심이 현어서는 유화공지묘가 저어물이니 
非精深이면 不能識也라. 
비정심이면 불능식야라.
 

是傳也 於堯舜禹湯文武周公之心에 雖未必能造其微나 
시전야 어요순우탕문무주공지심에 수미필능조기미나
於堯舜禹湯文武周公之書에 因是訓誥하면 
어요순우탕문무주공지서에 인시훈고하면  
亦可得其旨義之大略矣리라. 
역가득기지의지대략의리라.
嘉定 己巳 三月 旣望에 武夷 蔡沈은 序하노라. 
가정기사 삼월 기망에  무이 채침은 서하노라.
 

  성인의 마음이 서경에 드러남은 조화옹의 묘한 재주가 만물에 드러나는 것과 같으니
깊이 궁구하지 않으면 능히 알 수 없느니라.
이 집전은 요순우탕문무주공의 마음에까지 비록 오묘한 뜻에 이르지는 못하였으나
요순우탕문무주공의 글은 이 집전에서 훈고하면 능히 그 가리키는 뜻을 얻으리라.
가정 기사 삼월 기망에 무이 채침이 머리말을 쓰노라. 
 
 
중화경 보다가 다시 서전서문으로 돌아왔습니다.
필요할때 바로바로 보려고 올려놓습니다.
추천 1

댓글목록

견우직녀님의 댓글

견우직녀 작성일 15-04-15 03:55

제가 읽히는대로 적어놓겠습니다.



경원 기미년 겨울에 선생문공께서 침에게 명하시어 서집전을 지으라 하시고

이듬해에 돌아가시거늘 십년만에 비로소 책을 완성하니 모두 약 만자라.

오호라 어찌 서경을 쉽게 말할 수 있겠는가

이제삼왕의 천하를 다스리는 큰 법이 모두 이책에 실려있으되

나의 얕은식견과 학식으로 어찌 그것을 다 드러낼 것이며

또한 수천년후에 태어나 수천년 전의 성인의 사업을 밝히려 하니 이 또한 어려운 일이로다.

그러나,이제삼왕의 다스림은 중(中)의 마음을 나타내는것(道)에서 비롯되었고

이제삼왕의 도(道)는 중(中)의 자리(心)에서 비롯되었으니

바로 그 마음(中)을 얻으면 도(道)와 다스림을 진실로 말할수 있으리라.

무슨 까닭인가? 오직 중(中)을 잃지 않고 뜻을세워 한 마음으로써 나타냄은 요,순,우 가

서로 전한 심법이요, 중(中)의 뜻을세워 만민의 삶의 푯대를 드러냄은 상의 탕과

주의 무왕이 서로 전한 심법이니 무릇 덕과 인과 경과 성은 말이 비록 다를지라도

그 이치는 하나이니 다 이 마음(中)묘처를 밝힘이 아님이 없으니라.

하늘을 말함에 있어서는 그 마음(中)이 유래한 바를 엄히 하여 공경하였고

백성을 말함에 있어서는 그 마음(中)이 행하는 바를 조심하였으니

예와 악을 나타내어 가르침은 그 마음(中)이 나타남이요

온갖 문화와 제도는 그 마음(中)의 드러남이며

집안을 다스리고 나라를 다스려 천하를 평안케 함은 그 마음(中)이 확장된 것이니

오직 마음(中)의 덕이 성하도다.

이제삼왕은 이 마음(中)을 잘 간직한 사람들이요.

하의 걸과 상의 수는 이 마음(中)을 잃어버린 사람이며

태갑과 성왕은 이 마음(中)을 겨우 잃지 않은 사람이니

마음(中)을 간직하면 다스려지고 잃어버리면 어지러워지니

다스림과 어지러워짐을 나누어 보건대 마음(中)을 간직했느냐 그렇지 못하였느냐에

달려 있을 따름이다.

후세의 군주가 이제삼왕의 다스림에 뜻이 있을진대 그 방법(道)을 구하지 않을수 없음이요

그 이제삼왕의 다스리는 방법에 뜻이 있을진대 그 마음(中)을 구하지 않을 수 없음이니

마음(中)을 구하는 요체는 이 책을 버리고 어찌 얻을 수 있으리요.

침이 서경을 읽은 이래로 그 뜻을 깊이 헤아리고 여러 학설을 참고하여

자세히 이해하고 관통하였기에 이에 감히 절충하였으나 자세한 뜻과 깊은 뜻은

대개 오래 전에 들은 것을 그대로 서술한 것이요

이전과 우모는 선생이 일찍이 바로 잡으시어 아직도 손때 묻은 흔적이 새로우니

아! 애달프도다.

집전은 본래 선생의 소명인 까닭에 무릇 선생님의 설명을 인용한 것을

다시 따로 표기하지 않고 사대의 책을 여섯 권으로 나누니 글은 시대에 따라

다르나 중(中)의 마음을 갖춘 방법으로써 다스림은 한가지라.


성인의 마음(中)이 서경에 드러남은 조화옹의 묘한재주가 만물에 드러나는 것과 같으니

깊이 궁구하지 않으면 능히 알 수 없으니라.

이 집전은 요순우탕문무주공의 마음(中)에까지 비록 오묘한 뜻에 이르지는 못하였으나

요순우탕문무주공의 글에서 훈고하면 능히 그 가르키는 뜻(中)을 얻으리라.

가정 기사 삼월 기망에 무이 채침이 머릿말을 쓰노라.

금병산님의 댓글

금병산 작성일 15-04-15 11:48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 목록

수행법 공유 목록

Total 45건 1 페이지
수행법 공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증산참신앙 회원가입 안내... 인기글 운영자 12-11 41141 0
45 태을구고천존 염송에 대한 도교적 풀이 인기글 현우 07-13 9450 0
44 태을구고천존(太乙救苦天尊), 태을주(太乙呪) 주신(呪神)에 가장 가까운 분이라 생각합니다. 인기글 현우 07-13 11320 0
43 --- renewal site open 2017.07.03 ------------ 인기글 운영자 07-01 8384 0
42 ***** 경축***증산법륜도 사이트 오픈********************* 인기글 운영자 03-29 11825 0
41 주문수련의 비법 댓글1개 인기글 증산좌파 10-03 15275 0
40 나의 수행법 -1 댓글3개 인기글 견우직녀 10-01 14776 0
39 증산참신앙 주문집입니다^^ 댓글17개 인기글첨부파일 참신앙 07-28 14568 0
38 제가 하는 수행방법 인기글 지천태건 07-27 14574 0
37 수행에 대한 단상 -100일 몸만들기 댓글6개 인기글 견우직녀 04-16 15347 0
열람중 서전서문 댓글2개 인기글 견우직녀 04-15 14767 1
35 수행에 대한 단상-백회열기 댓글3개 인기글 견우직녀 04-10 12970 0
34 영보국정정지법 풀어보기 첫번째 인기글 견우직녀 04-02 11026 0
33 영보국정정지법 전문 댓글1개 인기글 견우직녀 04-01 11011 0
32 수행법에대서 질문이요 댓글9개 인기글 신농씨 11-27 8394 1
31 수행 공부에 대한 나의 소회 16 댓글6개 인기글 일부자 10-11 8739 1
30 답변글 Re: 수행 공부에 대한 나의 소회 16 인기글 스콜피오 10-11 7871 0
29 답변글 Re: 수행 공부-화(火) 다스리는 6가지 대응전략 댓글1개 인기글 덕산 10-11 8304 0
28 병이 드는 이유 1 댓글3개 인기글 일부자 10-11 8351 0
27 기가 막히면 병이 됩니다. 댓글6개 인기글 일부자 10-05 8769 0
26 기란? 댓글5개 인기글 일부자 10-05 8387 1
열린1페이지 2페이지 3페이지 맨끝
게시물 검색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고/제휴문의
  • TOP
  • 사이트관리자 : 증산법륜도 운영위 Email: jsbrdo@gmail.com
  • copyright(c) jsbrdo.net all rights reserved.